□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더 나은 강원교육 2.0 중기 계획 설명회 개최 □
“내일이 더 기대되는 강원교육 비전 추진”
2025. 1. 8.(수)
□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교육감 신경호)은 8일(수) 도교육청에서 ‘더 나은 강원교육 2.0 중기 계획’을 설명하는 자리를 가졌다.
□ 이 중기 계획은 ‘학생의 꿈으로 변화를 선도하고 세상을 이끄는 강원교육’을 비전으로 2025년~2028년까지 4년간 추진되며, 외부환경 변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 및 공교육 역할 확대와 책무성 강화를 목표로 5대 중점과제, 18개 핵심과제 및 66개 세부과제로 구성되었다.
□ 5대 중점과제는 ①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하여 국내외 학생 유치 및 작은학교의 교육력을 강화하고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과 통합학교 운영 행정기반을 조성하는 [작은학교, 큰교육], ② 디지털 및 인공지능(AI) 기술의 활용을 통한 개별 맞춤형 교육을 혁신하고자 하는 [디지털 혁신, 개별 맞춤형 교육의 도약], ③ 모든 수준의 학생을 더 촘촘히 지원하기 위해 학력 정책을 3단계로 세분화·체계화한 [미래를 여는 배움, 강원교육과정], ④ 학교폭력, 교육활동 침해 등을 예방하고 존중과 배려의 교육공동체 문화 형성을 위한 [따뜻한 학교, 함께하는 성장], ⑤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학교가 학생이 머무는 가장 안전한 곳이 되도록 하기 위한 [어디든 닿는 복지, 모두가 안전한 학교]로 구성되었다.
□ 신경호 교육감은 “더 나은 강원교육 2.0 중기 계획은 강원교육의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우리의 약속”이라며 “이번 계획을 통해 학생 한 명 한 명의 꿈이 실현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작은학교부터 디지털 혁신까지 모든 영역에서 공교육의 역할을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참고] 5대 중점 과제 개요
추진 배경
□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선제적 대응 방안 마련
- (작은학교) 학령인구 감소
- (디지털)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AI) 기술의 교육적 활용
□ 공교육 역할 확대 및 책무성 강화를 통한 교육 격차 해소
- (학력) 모든 수준의 학생을 촘촘히 지원하는 교육과정 운영
- (인성) 정상적 교육활동의 기반이 되는 존중과 협력의 교육공동체 조성
- (복지·안전) 취약계층 지원 사각지대 해소, 학교 안전 확보
2. 추진 방향
중점 과제 | 추진 방향 |
작은학교, 큰교육 | ◦ 목표: 적정 학교규모 유지, 적은 학생 수를 강점으로 전환 ◦ 세부 추진 방향 ① 학생 유치 ② 학생 이탈 방지 ③ 학교 운영 다양화 기반 조성 |
디지털 혁신, 개별 맞춤형 교육의 도약 | ◦ 목표: 디지털 기술을 통한 개별 맞춤형 교육의 도약 ◦ 세부 추진 방향 ① 인프라 조성 ② 교수·학습 혁신 ③ 행정 혁신 |
미래를 여는 배움, 강원교육과정 | ◦ 목표: 모든 수준의 학생을 촘촘히 지원하는 학력 정책 세분화 ◦ 세부 추진 방향 ① 기초학력 ② 기본학력 ③ 배움의 심화·적용·확장 ④ 교사 전문성 성장 지원 ※ 기본학력: 다음 수업(학기, 학년)을 들을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학력 → 학습결손 누적 방지를 위한 [좋은 수업+수시평가+적시 지원] 필요 → 학생의 성취도와 결과에 대한 학교의 책무성을 강조 |
|
따뜻한 학교, 함께하는 성장 | ◦ 목표: 교육활동의 기반이 되는 존중과 협력의 교육공동체 조성 ◦ 세부 추진 방향 ① 인성교육 ② 학교폭력 및 교육활동 침해 예방 ③ 시민교육 |
어디든 닿는 복지, 모두가 안전한 학교 | ◦ 목표: 학생이 머무는 가장 안전하고 따뜻한 장소, 학교 ◦ 세부 추진 방향 ① 유보통합 ② 늘봄학교 ③ 특수교육원 ④ 학교 안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