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조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국가상징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가상징 알아보기국가상징 알아보기

보도자료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강원특별자치도2025 강원특별자치도교육행정협의회 개최

 

도교육청-도 비법정 교육협력사업비 분담을 통한 협력 강화

2025. 10. 28.(화)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교육감 신경호)과 강원특별자치도(도지사 김진태)28() 오후 5, 도교육청에서 ‘2025년 제2회 강원특별자치도교육행정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번 협의회는 신경호 교육감과 김진태 도지사가 공동의장으로 주재했으며, 2026년도 비법정 협력사업 분담 비율 결정 법정전입금 세출예산 편성 및 전입 시기 협의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학생맞춤통합지원 체계구축 협조 등 3개 안건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국가 세수 감소 등 어려운 재정 여건에도 불구하고, 양 기관은 지속 가능한 교육 협력의 중요성에 공감하고 2026년도 비법정 협력사업 분담 비율을 2025년과 동일하게 동결하기로 합의했다. 이를 통해 도민 복리 증진을 위한 상호 협력을 강조했다.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농어촌유학 활성화' 방안도 심도 있게 논의되었다. 2026년에는 농어촌유학생 체류비 지원 기간을 2년으로 연장하여 총 20억 원 규모의 사업비를 투입할 계획이다.

 

또한, 20263월 시행될 학생맞춤통합지원법에 발맞춰, 학교·교육청·지자체가 연계하는 유기적인 학생맞춤통합지원 체계 구축에도 적극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신경호 교육감은 "교육은 세대를 잇는 긴 호흡의 투자이며, 도와 교육청의 협력은 강원교육의 미래를 단단하게 만들 것"이라며, "인공지능(AI)과 학령인구 감소, 지역소멸 등 복합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청의 전문성과 도청의 행정 역량이 유기적으로 연결될 때 모든 아이들에게 공정한 출발선을 제공할 수 있다",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는 말처럼 상생협력으로 안정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강원특별자치도교육행정협의회는 교육·학예에 관한 사업을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과 강원특별자치도가 공동으로 협력하여 실행하기 위해 매년 개최하는 협의기구다.

 

붙임 1. 강원특별자치도교육행정교육협의회 상정 안건 1.

      2. 협의결과 1.

      3. 행사 사진 2(행사 후 제공). .

 

붙임 1강원특별자치도교육행정협의회 상정 안건

연번

안건명

비고

1

2026년도 비법정 협력사업 분담 비율 결정

 

교육1

법정전입금 세출예산 편성 및 전입시기 협의

 

교육2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학생맞춤형통합지원 체계 구축 협조

 

 

 

붙임 2협의 결과

교육행정협의회 교육협력 안건 협의 내용

 

1

2026년도 비법정 협력사업 분담 비율 결정

제안사항(도교육청)

  - 2026년도 분담비율을 2025년도 수준으로 유지(동결)

사업명

사업 수

‘26년 분담 비율()

시군

교육청

합계

원어민교사지원

중고신입생 교복지원

2

-

-

100%

100%

자영농과생 급식비 지원

1

25%

-

75%

100%

농어촌유학생 체류비 지원,

동계스포츠 육상학교·선수지원

2

50%

-

50%

100%

친환경 우수농산물 학교급식 지원,

친환경 학교급식 지원(식품비)

2

25%

25%

50%

100%

 

  - 2026년도 비법정 협력사업 예산편성 현황 (금액단위 : 천 원)

구분

재원

2025년도(a)

2026년도(b)

증감(b-a)

비고

비법정

협력사업

(7)

29,930,132

30,538,192

608,060

 

시군

28,595,816

29,011,409

415,593

 

교특

75,340,557

75,954,711

614,154

 

133,866,505

135,504,312

1,637,807

 

  

협력사항(교육청) : 수정 수용

  - 도교육청의 재정 여건 및 사업의 지속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2026년도비법정 협력사업(7)의 분담비율은 도 요청안 수용

    , ‘농어촌유학생 체류비 지원사업의 지원기간은 최대 2으로 하고, 향후 변동이 있을 경우 교육행정협의회에서 결정

 

 

 

교육1

법정전입금 세출예산 편성 및 전입시기 협의

제안사항(도교육청 )

  법정전입금에 대한 2026년도 강원특별자치도교육비특별회계 본예산(세출) 편성 및 전입시기 협의

협력사항()

  2026년 법정전입금(239,426,108천원)에 대한 2026년 본예산(세출) 편성 및 전입시기 동의

 

교육2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학생맞춤통합지원 체계 구축 협조

사업개요

  - 근거:학생맞춤통합지원법(2026. 3. 1.시행)

  - 내용: (운영체계) 학교-교육지원청-지자체-지역사회 연계, ·지역 학생맞춤통합지원위원회 구성 및 운영

          (중점추진) 지원학생 조기발견 및 개입 체계 구축, 시책 수립 및 실적 분석, 기관 간 업무 조정·사례관리 강화

제안사항(도교육청 )

  - (복지 영역)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쉼터, 가족센터 등과 협력해 학교 밖 청소년 및 취약가정에 관련한 데이터 및 정보 공유

  - (심리·정서적 영역) 신건강복지센터·전문기관과 상담·치료 연계헙력

  - (가정·지역사회) 지역아동센터, 드림스타트 등과 지원대상 학생 발굴·관리 정보 연계

  - (운영체계) 학생맞춤통합지원위원회 위원 위촉 협조 및 사례관리 정보(교육·복지 정보연계시스템 연계) 공유

협력사항() : 수용

  - 기관 간 협력으로 지역사회 내 청소년 사회안전망 구축 및 다각적인 복지 지원

  - 위기청소년 통합 사례관리를 위한 협력

  - 학생맞춤통합지원위원회 위원 위촉 협조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