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조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국가상징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가상징 알아보기국가상징 알아보기

보도자료

강릉오성학교, 디지털 기반 특수학교 소프트웨어-인공지능(SW-AI) 미래기술 체험 프로그램 운영

 

미래형 에듀테크로 여는 특수교육의 새로운 가능성과 미래직업교육 확장

2025. 11. 4.(화)

 

 

강릉오성학교(교장 김범표)는 오는 115() 전교생을 대상으로 교내 체육관 및 도서실 일대에서 미래 핵심역량 강화 소프트웨어·인공지능(SW·AI)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장애학생의 미래사회 대비 역량 강화 디지털 문해력 신장 인공지능(AI) 활용 진로 탐색 기회 확대를 목표로 기획되었다.

 

최근 산업구조가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장애학생에게 새로운 직업군 접근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AI)·로봇 기반 직무는 장애 특성에 맞춘 맞춤형 직무 설계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진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학교는 학생들의 발달 수준을 고려해 성취감을 경험할 수 있는 맞춤형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프로그램은 초·중학부, 고등부·전공과 순으로 참여 시간을 분리 운영해 학생들이 각자의 수준에 맞는 체험에 집중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학생들은 엠타이니·루나·엠봇2 로봇을 활용한 직업 및 감정 이해 코딩 기반 우리 동네 탐험 인공지능(AI) 대화 체험 감정로봇 제작 사물인터넷(IoT) 기술 학습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인공지능(SW·AI) 기반 체험을 경험하게 된다.

  또한 디지털 타투 무인 매장(키오스크) 운영 단편 영화 감상 등 학교 자체 운영 체험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아울러 학교는 부스별로 지원 인력 2명을 배치하고 스탬프 챌린지를 도입하여 학생들이 안전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담당 교사는 미래에는 로봇 관리, 인공지능(AI) 보조, 무인 시스템 운영 등 장애학생에게 적합한 새로운 직무의 문이 더욱 넓어질 것이라며 학생들이 직접 체험을 통해 진로 가능성과 자신감을 키울 수 있도록 세심히 운영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김범표 교장은 이번 프로젝트는 장애학생이 미래사회의 당당한 구성원으로 살아가기 위한 교육의 일환이라며 앞으로도 학생 개개인의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미래융합형 진로교육을 적극 강화하겠다.”라고 말했다.

 

학교는 이번 행사 결과를 분석해 지역사회 및 기업과 연계한 직업군 확대형 에듀테크 프로그램개발을 지속할 예정이다.

 

붙임 사진 2(행사 후 제공). .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