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교육공동체 내실화’ 정책으로 강원특별자치도의 지역적 특성과 사회·문화적 환경을 반영한 민·관·학이 함께하는 교육 활동으로 신뢰와 협력의 지역교육생태계 조성하고, 그 안에서 강원특별자치도의 아이들이 더 넓게 배우며 더불어 살아가는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여 지속가능한 삶의 기반을 만들어가고자 합니다.
- home
- 교육정보
- 더나은교육지구
- 지역 교육공동체 내실화
- 사업소개
사업소개
사업소개 내용시작

추진 배경
- 지역 교육 인프라의 체계적 조직을 통한 통합적인 학교 지원 체계 구축
- 아동·청소년 복지 및 청소년 문화지원, 돌봄 등 교육 불평등(교육 격차, 문화 격차 등) 심화로 인한 지역사회와의 역할 분담 필요
- 시·군간 학생수 양극화, 지방소멸, 사회적 자본 부재로 인한 다양한 사회·교육적 문제에 민·관·학이 공동 대응할 수 있는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지속가능한 교육생태계 형성 필요
추진 목적
- 교육청, 지자체, 지역사회, 학교의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으로 아이들의 당면한 총체적 삶의 요구를 온전하게 충족시키며 더불어 살아가는 시민으로 키워내는 지역교육 생태계 형성
- 학교와 지역을 넘나들고, 세대를 아우르며, 서로 돌보고 함께 배우는 온마을 돌봄·배움터 구축으로 교육·문화 격차 해소 및 아이들을 위한 더 좋은 삶터 조성
목표 : 신뢰와 협력으로 더 넓게 배우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어가는 지역교육생태계
추진방침
-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지역사회 인식 전환
- 교육 현안에 공동 대응하는 민·관·학 협력 체계 구축
- 신뢰와 협력을 바탕으로 하는
자치적이고 자발적인 지역교육활동 추진 - 아동·청소년의 삶에 응답하며
전인적 성장을 지원하는 온마을돌봄·배움터 제공
- 추진원리
-
- 교육의 공공성 회복
누구에게나 공적으로 제공되는 공공재이면서, 전 사회적으로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재로서 교육의 공공성 회복을 지향함.
- 학습자 주도성
앎에 대한 욕구를 바탕으로 지속적이고 적극적으로 애쓰는 과정으로서의 흥미와 자신을 둘러싼 관계적 맥락에서 구체적인 실천으로서 행위를 포함하는 학습자주도성을 지향함.
-
- 협력적 주도성(Co-agency with peers, teachers, parents, communities)
-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
- 실행(Action)
- 반성(Reflection)
- 예측(Anticipation)
- 변혁적 역량(Transformative competencies)
- 새로운 가치 창조하기(Creating new value)
- 긴장과 딜레마 해소하기(Reconciling tensions & dilemmas)
- 책임감 가지기(Taking responsibility)
핵심기초(Core foundations)
- 역량(Competencies)
- 지식(Knowledge)
- 가치(Values)
- 기능(Skills)
- 태도(Attitudes)
웰빙 2030(Well-being 2030)
OECD 2030 학습나침반 / OECD
- 교육의 공공성 회복
- 중점과제
-
-
더나은교육지구
- 18개 시·군 더나은교육지구 운영
- 지역교육협력체계(교육거버넌스) 구축
- 아이들이 당면한 교육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공동사업
- 학교와 지역의 사람을 조직하고 연결해주는 사업
- 온마을돌봄·배움터 조성
지역교육과정- 삶과 연계한 학습과 성장을 위한 지역교육과정 운영
- 지역교육과정 운영 사례 발굴 및 공유
- [더나은교육지구] 지역사회 역량과 자원 조직화 및 콘텐츠 개발·연계
- [더나은교육지구] 지역사람책(마을선생님), 지역교육활동가 성장지원
청소년 사회참여활동- 배움을 지역에서 실천하며 공동체의 변화와 성장에 기여하는 봉사활동
- 지역에서 협력하며 도전하는 청소년 자치배움터 운영
- SDGS 중심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참여 프로젝트 운영 지원
- [더나은교육지구] 청소년 사회참여 활동을 위한 지역 사회 연계
사회적경제 교육 및 학교협동조합- 청소년 사회적경제 교육 활성화
- 학교협동조합 설립·운영 지원
- 청소년 사회적경제 교육 및 학교협동조합 지원체계 구축
- [더나은교육지구] 지역의 사회적경제 조직과 함께하는 교육활동
더나은교육지구 추진단- 광역단위 민관학협력체계 구축
- 더나은교육지구를 통한 지역교육협력체계 활성화 지원
-